전체 글12 Ohmic contact(저항 접촉) 두 가지 이상의 물체가 전기적으로 접촉될 때에는 그 두 물체가 완전한 접촉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모두 저항성 접촉이라고 할 수 있다. 납땜이나 용접이나 기타 다른 방법으로 두 물체를 접촉시킨다고 해도 현미경적으로 보게되면 그 사이에는 틈이 생기게 되는데 그 틈을 공기가 채우고 있다고 보면, 공기의 저항은 도체가 아닌 부도체에 가깝기 때문에 엄청나게 큰 저항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저항성 접촉이라고 할 수 있다. 접촉저항을 이용한 대표적인 경우가 아크용접 이다. 전류량이 크게 되면 두 물체 사이에 틈이 있더라도 방전이 되는데, 이 때 큰 접촉저항에 의해 엄청난 열이 발생하게 되죠. 이 열에 의해 용융된 금속을 이용하여 용접이 되게 합니다 물질의 전기적인 특성을 측정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2023. 6. 21. 자기저항 효과 자기저항효과(magnetoresistance effect, MR 효과)는 일명 Thomson 효과라 하며, 자성체의 전기적 저항이 자화방향과 전류의 방향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이다. 물리적인 원인은 자기장에 의해 스핀방향이 서로 다른 전자의 에너지준위가 분리되어 Fermi 표면의 상태밀도가 변하여 비저항이 변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비등방성(anisotropic) 자기저항 재료인 경우, 경우 상온에서 자기저항 변화율이 2~5% 정도로 매우 적다. 1988년 Baibich 등이 자기저항변화 효과를 상온에서 50%까지 변화시키는 거대자기저항 다층막을 보고함으로써 이 재료에 대해 큰 관심을 끌게 되었다. 거대자기저항은 발견된 지 불과 수년만에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의 재생헤드로 상용화에 성공하였다. 이런 빠른 .. 2023. 6. 21. MCMC(Markov Chain Monte Carlo) 확률분포로부터 직접 표본을 샘플링하기 어려운 경우 확률밀도 함수에 비례하는 함수를 이용하여 표본을 근사적으로 샘플링하는 방법. 베이지안 방법론에서 posterior의 값이 prior과 likelihood의 곱에 비례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posterior분포를 구할 때 많이 사용한다. 몬테카를로 방법(Monte Carlo Method) 무작위 추출된 난수를 이용하여 원하는 함수값을 얻는 방법의 총칭. 몬테카를로 방법의 예시로 아래와 같은 과정을 통해 파이값을 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Monte Carlo Method 위키피디아 1. 원점을 꼭지점으로 하고 변의 길이가 1인 정사각형을 그린다. 2. 정사각형 내부에 수많은 점을 떨어트린다. 3. 모든 점의 갯수 "total"과 원점으로 부터의 거리가.. 2023. 6. 21. 텐서플로우에서 양자화(Quantization)하는 방법 뉴럴넷이 처음 개발되었을때, 가장 큰 이슈는 어떻게든 동작하게 하는 것이어서, training 정확도와 속도는 뒷전이였다. 그래서 그 당시, 뉴럴넷을 training 시킬 때, 정확도와 속도는 그리 좋지 않았었다.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한 가장 쉬운 방법은 소숫점 (floating point) 연산을 사용하는 것이였고, GPU 를 통해 그런 연산들의 속도를 가속화하기만 하여서, 다른 numerical format 을 사용하는 것에는 큰 관심이 없는건 어찌보면 당연하였다. 하지만 요즘에는 상용모델 (GPU가 없는 스마트폰, IoT 기기) 들에 적용되는 다양한 뉴럴넷 모델들이 실재한다. 그러면, 그런 뉴럴넷 training 을 위한 연산 요구량은 연구자들의 숫자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실제 추론을 위해 .. 2023. 6. 21. 이전 1 2 3 다음